세인트존스워트는 작용 기전이 SSRI(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)와 유사하여 유럽등지에서는 경증의 우울증을 위해 처방되기도 하는 허브류의 일종이다. 이것이 강박장애에 효과가 있다는 실증적 논문은 존재하지 않는 것 같다. 경증의 우울증을 덜어주는 수준이기에, 아마도 그보다 중증의 신경증인 강박장애에는 효과가 없으리라 추측된다. 게다가…
임상심리학, 인지심리학, 기타 심리학에 관한 연구 결과입니다
MBTI 테스트는 신뢰할 수 있는가?
MBTI는 개인의 성향과 “관련되었다고” 간주되는 일련의 질문들에 대한 피험자의 응답을 근거로 거꾸로 개인의 성향을 추정하는 테스트이다. 따라서 이 테스트의 가치와 신뢰성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성향과 질문과의 관련성을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. 간단히 비유를 들어 결론만 밝히자면, MBTI는 “당신은 사탕을 좋아합니까?”란…
상징주의 시인 보들레르가 말하는 우울증
내가 지금 실감하고 있는 것은 광대한 실의, 견딜수 없는 고립감, 막연한 불행에의 떨칠 길 없는 두려움, 내 능력에 대한 완전한 불신, 욕구의 전적인 부재, 무언가 기분풀이 할 수 있는 것의 발견 불가능 등입니다. -중략- 이것은 해서 무엇하나? 저것은 해서…
약물치료 중단시 강박증은 재발하는가?
제목과 관련된 문제를 담은 ” Long Term Treatment of Obsessive-Compulsive Disorder”란 제목의 논문 하나를 간단히 살펴보겠다. 참고로 이 글은 임상가(practitioner)가 아닌 일반인을 위한 참고용으로 작성된 것이므로, 임상 전문가들은 글 마지막의 레퍼런스 논문을 직접 확인하기 바란다. 연구에 따라 다르나,…
아리스토텔레스와 행동치료
덕에는 지적인 덕과 도덕적인 덕의 두가지가 있다. 이것은 각각 영혼의 두 부분(즉, 이성적인 부분과 비이성적인 부분)에 상응하는 것이다. 그리고 지적인 덕은 배워서 얻을수 있고, 도덕적인 덕은 습관에서 얻을수 있다. 에컨대 우리는 의로운 행위를 함으로써 의롭게 될 수 있는 것이다.…